임상영양학
임상영양학은 영양소의 과부족 및 대사장애와 연관된 각종 질환의 치료를 돕고 이를 질환에 대한 예방을 다루는 학문이다. 각종 질환의 원인과 증상, 생리적 발병 기작과 영양, 생화학적 변화의 이해를 토대로 정확한 영양판정과 합리적인 영양중재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치료 효과를 크게 해야 하고 질환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관리하려면 영양판정은 적절한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각 영역 표준치와 비교하고 평가한다. 영양판정 지표는 환자의 가족력과 과거력을 제외해야 한다. 영양판정 후에는 영양진단을 해야 한다. 영양진단은 영양진단문을 작성하고 문제, 징후, 원인 형식을 사용한다. 영양 중재는 영양 문제 해결을 위한 우선순위 및 목표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영양모니터링 및 평가를 한다. 영양판정에서 영양 중재까지의 과정을 평가하고 영양 중재 결과를 측정하고 감정한다.
환자의 에너지 필요량은 소비에너지와 섭취 에너지의 균형에 따라 조절한다. 또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에너지 필요량 산출 공식 적용하고 부상 정도에 따른 상해 계수 고려한다. 또 현재 체중 상태에 따른 활동별 에너지양을 고려해야 한다. 질환 종류, 환자 상태, 약물 종류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영양필요량을 산정해야 한다.
단백질 필요량은 정상적 신체활동 및 에너지 균형 상태에서 질소 평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량이다.
질환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반영해야 한다. 신장질환, 암, 감염, 화상, 수술, 심한 발열 환자는 단백질 필요량이 증가한다. KDRI (2020) : EAR 0.73g/kg/일, RNI 0.91g/kg/일.
탄수화물 필요량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두뇌에서 사용하는 포도당을 충분히 공급해서 케토시스 방지할 수 있다. 케톤증 예방을 위한 최소 필요량은 100~150g/일 이다. 당류 중 첨가당은 총에너지 섭취량의 10% 이내로 권고한다. 지방필요량은 지방이 에너지밀도가 가장 높은 에너지 영양소이다.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지방과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의 경우에 에너지 적정비율을 설정하고 있다. 심뇌혈관질환, 이상지질혈증의 경우에는 주의해야 한다. 포화지방은 7 미만으로 먹어야 하고, 트랜스지방산은 1 미만으로 먹어야 한다. 콜레스테롤은 만성질환 위험감소섭취량을 권고치로 제시한다. 특정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비타민과 무기질 필요량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수분 계산은 땀, 소변, 누공, 설사 등 손실되는 수분량 고려를 해야 한다. 수분 요구량이 증가하는 경우는 화상, 누공, 고열, 저혈량증이 있고, 수분 요구량이 감소하는 경우는 고혈량증, 신부전, 심부전, 복수가 있다. 1ml/1kcal, 섭취 질소 1g당 100ml 추가해야 한다.
환자의 식단작성
식사 및 영양 섭취 상태 평가를 해야 하는데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해야 한다.
식사섭취량 조사는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는데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고 섭취기준과 비교해야 한다.
평균 필요량은 평소 섭취량이 부족할 확률을 조사하는 데 사용한다. 권장 섭취량은 평소 섭취량이 권장섭취량을 초과하거나 비슷할 경우 부족할 확률은 낮다.
충분 섭취량은 평소 섭취량이 충분 섭취량을 초과하거나 비슷할 경우 부족할 확률이 낮다.
상한 섭취량은 평소 섭취량이 상한 섭취량을 초과할 경우 과잉 섭취로 인한 건강을 위한 가능성이 높다.
식사 계획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토대로 계획한다. 질환 특성에 따라 특정 영양소 섭취량 조정해야 한다. 환자의 식사 계획 시 고려해야 할 부분은 환자의 질환 특성을 고려하고 환자 상태를 고려하며 환자의 기호도 및 수용도를 고려해야 한다.
식품 교환법은 식품성분표를 이용하지 않고 식품교환푤를 이용하여 에너지와 3대 영양소를 간단하고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는 미국 영양사협회에서 당뇨환자의 영양교육을 위해서 개발되었다.
식품 교환 표는 영양소 구성이 비슷한 식품을 6가지 식품군으로 나눈다. 열량, 지방, 단백질량이 유사하게 짜야 하고 각 식품군 내 식품‘1 교환 단위량’을 설정해야 한다.
같은 군끼리만 교환이 가능하다.
곡류군 1 교환 단위는 밥 1/3공기 = 식빵 1쪽 =옥수수 1/2개 = 고구마 1/2개 = 감자 1개 = 국수 1/2공기 = 쌀 3큰술 =100kcal이다. 어육류군 1 교환 단위는 생선 통조림 1/3컵 = 치즈 1.5장 =갈비 소 1토막 =100kcal이다.
등푸른생선, 달걀, 연어, 두부는 중지 방이다. 뱀장어, 갈비, 소시지, 햄, 치즈, 유부는 고지방이다. 흰살생선은 저지방이다. 지방의 단백질 함량은 8g이다. 채소군은 채소류, 해조류, 버섯류, 김치류 및 채소주스류가 속한다. 채소 중 당질이 많은 채소는 대부분 뿌리채소이다(단호박, 당근, 도라지, 쑥, 연근, 우엉 등).
과일군은 과일과 건조과일, 과일 주스 및 과일 통조림을 말한다. 지방군은 식물성 기름, 고체성 기름, 견과류 및 씨앗, 드레싱이 속한다. 우유 군은 두유, 분유를 포함하는 일반 우유와 저지방 우유로 나누어진다.
식단 작성은 대상자의 1일 필요 열량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필요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필요량에 따라 식품군별 교환 단위 수를 결정한다. 끼니별로 교환 단위 수를 배분하고 이를 토대로 식품 교환 표를 이용하여 식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식품으로 식단을 작성한다. 영양기준량을 설정할 때는 총에너지와 총에너지와 당질, 단백질, 지방을 필요량을 산정한다. 1일 필요 에너지는 연령, 성별, 활동량, 체중, 질병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결정한다.
영양학